- 정의 : 주차로봇에 의해 자율적으로 자동차를 이동하여 주차하도록 설계한 주차장치
- 시행 : 국토교통부는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를 받아 운영중인 주차로봇을 제도화하는 ‘기계식주차장치의 안전기준 및 검사기준 등에 관한 규정’ 개정안을 9월부터 시행하고 있음.
주차로봇 서비스 방식
- 입차 : 이용자가 입고구역에 차량을 두면 주차로봇이 운반기와 차량을 함께 들어 올린 후 주차장 바닥의 QR코드를 인식하여 경로를 따라 빈 주차구획으로 주차,
- 출차 : 이용자가 출고구역에서 차량번호를 입력하면 주차로봇이 출고구역까지 자율주행으로 차량을 이동.
주차로봇 서비스 기대효과
- 운전자가 주차공간을 찾기 위한 배회시간 감소
- 주차장내 사람과 차량간 접촉사고 및 문콕사고 등의 안전사고 위험도 감소
- 주차면에 사람이 타고 내리는 공간이 불필요하여 일반 자주식 주차장 대비 공간효율성 약 30% 증가
- 기존 기계식주차장 대비 철골, 레일, 체인 등의 장치가 불필요하여 초기 설치비용 약 20% 절감
< 함께보면 좋은 글 >
램프 경사로 완화구간 설치기준 주차장법 시행규칙
차량의 대형화 및 차체 하부에 배처리를 탑재한 전기차의 증가로 램프 경사로 시종점부분 차량 하체 충격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자 램프 경사로의 완화구간을 도입하게 되었다. 램프 경사로
boom33.tistory.com
일반 평면교차로 회전교차로 상충 횟수 비교
교차로에서 상충이란 2개 이상의 교통류가 동일한 도로 공간을 사용할 때 발생되는 교통류의 교차, 합류, 분류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평면교차로 설계의 핵심은 상충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처
boom33.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