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차로에서 상충이란 2개 이상의 교통류가 동일한 도로 공간을 사용할 때 발생되는 교통류의 교차, 합류, 분류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평면교차로 설계의 핵심은 상충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처리하는 것이다.

일반 평면교차로 종류별 상충횟수

  • 평면교차로 갈래 수에 따른 상충횟수
    • 3지교차로 : 교차상충 3회, 합류상충 3회, 분류상충 3회 : 총 9회
    • 4지교차로 : 교차상충 16회, 합류상충 8회, 분류상충 8회 : 총 32회
    • 5지교차로 : 교차상충 15회, 합류상충 15회, 분류상충 49회 : 총 79회
    • 6지교차로 : 교차상충 24회, 합류상충 24회, 분류상충 124회 : 총 172회

일반 평면교차로와 회전교차로 상충 비교

일반 평면교차로와 회전교차로의 상충횟수 비교 : 동일 조건의 교차로일 경우 회전교차로의 장점으로 자동차간 상충횟수 및 자동차와 보행자간 상충횟수가 적어 안전성 향상을 뽑을 수 있다.

  • 4지교차로 형태인 경우 자동차간 상충횟수
    • 일반 평면교차로 : 교차상충 16회, 합류상충 8회, 분류상충 8회 : 총 32회
    • 회전교차로 : 교차상충 0회, 합류상충 4회, 분류상충 4회 : 총 8회

  • 4지교차로 형태인 경우 자동차 보행자간 상충횟수
    • 일반 평면교차로 : 직진상충 4, 좌회전상충 4, 우회전상충 8: 16
    • 회전교차로 : 진입상충 4, 진출상충 4: 8

 

 

< 함께보면 좋은 글 >

 

교차로 최소 간격 교통영향평가 지침

교통영향평가 지침에 제시된 가로의 소통 및 안전을 고려한 교차로 최소 간격은 다음 3가지 방법이 있으며, 이 중 최대치를 적용하여 간선도로에서의 교차로 최소 간격을 결정한다. 설계속도와

boom33.tistory.com

 

고원식 횡단보도 교차로 설치방법

◆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제38조(도로안전시설 등) 자동차의 속도를 낮추고 통행량을 줄이기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곳에는 교통정온화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 도로의 구조시

boom33.tistory.com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