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면교차로를 계획할 때 교차로의 상충각도, 접속경사, 시거등을 고려해야 하는데요. 그 중에서도 교차로의 설치 간격은 교통 흐름과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주변 지역의 생활환경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신중히 판단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평면교차로 설치시 고려사항

일반적으로 평면교차로의 간격이 짧아 가로망에 교차로 개수가 많아지면 주변 지역의 접근성이 향상되나 주행속도가 낮아지고 상충지점이 증가하므로 안전에는 악영향을 미칩니다.

반대로 교차로 간격이 너무 길어지면 높아진 주행속도에 의해 사고 위험성이 높아지고, 신호 연동에 어려움이 생기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도로의 안전과 원활한 교통흐름을 위해서는 도로의 기능과 설계속도, 차로수, 접속 형태 등을 고려하여 교차로 설치해야 합니다. 또한 교통흐름에 맞게 비보호좌회전, 일방통행, 좌회전 금지 등의 차로운영방안 제시해야 합니다.

 

평면교차로 최소 설치 간격

평면교차로의 최소 간격을 결정하는 요소들로는 차로 변경에 필요한 길이, 대기 자동차 및 회전차로의 길이, 다음 평면교차로에 대한 시거 확보 등이 있는데요. 아래와 같은 사항에 대해 집중적으로 검토해야 합니다.

차로 변경에 필요한 길이

평면교차로 간격이 매우 좁은 도로는 진입과 진출을 하려는 자동차로 인하여 위빙 이 발생하는데요. 이때 교통량, 변경 차로수, 차량 속도 등을 고려하여 차로변경 금지 등의 조치를 해야 합니다. 도로의 구조 시설에 관한 규칙에 제시되어있는 평면교차로 간의 최소 간격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L=a×V×N
    • L : 최소 간격(m)(교차로 간 안쪽 길이)
    • a : 상수(시가지부 1, 지방지역 2~3)
    • V : 설계속도(km/h)
    • N : 설치 차로수(일방향)

좌회전차로의 길이 고려

교차로를 인접하게 계획할 경우 신호 대기차량에 의해 교통흐름이 방해받지 않은지 검토해야하는데요. 대부분 직진교통량은 신호연동을 통해 대기행렬이 짧은 반면, 좌회전교통량의 경우 직진 신호가 길어지고 대기차로가 짧으면 대기행렬이 본선의 교통흐름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적절한 좌회전 대기차로를 설치하거나 신호운영 등을 통해 대기행렬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다음 평면교차로에 대한 인지성 확보

운전자들은 하나의 교차로를 통과하고 나면 순간적으로 주의력이 떨어 질 수 있는데요. 따라서 교차로 통과 후 다음 교차로에 대한 인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거리에 교차로를 계획해야 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