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수 차로는 도시지역과 지방지역에서의 운영방식이 다소 다르다. 도시지역의 경우 회전 차량이 많고 시간대별, 방향별 교통량의 변화가 크므로 이에 맞는 3가지 방식으로 운영된다. 지방지역의 경우 좌회전차로, 앞지르기차로, 오르막차로 등의 특정구간에 운영되어 왔으며, 양방 2차로 도로의 용량을 높이기 위한 2+1차로도로 사용되고 있다.
도시지역 홀수차로 운영
- 좌회전 전용차로 유형① : 교차로와 교차로 사이구간 좌회전 진입을 위한 대기차로로 사용하며 능률차로로 불리기도 한다.
- 좌회전 전용차로 유형② : 한 차로 전체를 좌회전 또는 유턴 차로로 이용할 수 있다.
- 양방향 좌회전 차로 : 중앙차로를 양방향 모두 좌회전차로로 이용할 수 있다. 이는 도로 주변 토지나 시설물에 접근이 빈번하여 직진차량과 회전차량의 충돌사고가 빈번한 경우 설치할 수 있다.
- 양방향 좌회전 차로 장점
- 직진 자동차로부터 좌회전 자동차를 분리하여 도로용량과 통행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후미 및 측면 충돌 사고를 줄일 수 있다.
- 도로 주변 개발에 따른 주변 토지나 시설물에 대하여 접근하려는 요구 민원이 많을 경우 적합하다.
- 분리된 공간을 확보하여 정면 충돌 사고율을 낮출 수 있다.
- 위급한 상황에 처한 자동차들의 대피장소로 활용이 가능하다.
- 양방향 좌회전 차로 설치 부적합 지역
- 주행속도가 매우 높은 속도로 인하여 주행 안전성이 각별히 요구되는 지역
- 중심 상업지역과 같이 좌회전 교통량이 너무 많아 혼잡이 예상되는 지역
- 교통량이 너무 적을 경우 양방향 좌회전차로가 주행차로로 오인될 소지가 있음.
- 양방향 좌회전 차로 장점
< 함께보면 좋은 글 >
교차로 최소 간격 교통영향평가 지침
교통영향평가 지침에 제시된 가로의 소통 및 안전을 고려한 교차로 최소 간격은 다음 3가지 방법이 있으며, 이 중 최대치를 적용하여 간선도로에서의 교차로 최소 간격을 결정한다. 설계속도와
boom33.tistory.com
최소녹색시간 보행신호 산정 방법
최소녹색시간은 보행자 횡단을 고려해야하는 현시와 이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현시로 나누어 결정합니다. 보행자 횡단시간을 고려하는 경우 보행자 횡단시간을 고려해야하는 현시의 최소녹
boom33.tistory.com
'교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량신호기 및 보행자신호기 설치기준 (0) | 2023.11.21 |
---|---|
보호 좌회전 및 비보호 겸용 좌회전 신호 운영 기준 (0) | 2023.11.21 |
교차로 최소 간격 교통영향평가 지침 (0) | 2023.11.20 |
차도와 보도 자전거도로 시설한계 (0) | 2023.10.05 |
교통영향평가 내역서 샘플 및 노임단가 기준 (0) | 2023.07.31 |